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대한민국 육군본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타국의 사례에 대한 내용은 육군참모총장 문서
육군참모총장번 문단을
육군참모총장#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liujuncanmou_2.pn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응준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신태영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 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종찬 || 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백선엽 || 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형근 || 10대
백선엽 ||
|| 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송요찬 || 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영희 || 1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경록 || 1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장도영 || 15대
김종오 ||
|| 16대
민기식 || 17대
김용배 || 18대
김계원 || 19대
서종철 || 20대
노재현 ||
|| 21대
이세호 || 22대
정승화 || 23대
이희성 || 24대
황영시 || 25대
정호용 ||
|| 26대
박희도 || 27대
이종구 || 28대
이진삼 || 29대
김진영 || 30대
김동진 ||
|| 31대
윤용남 || 32대
도일규 || 33대
김동신 || 34대
길형보 || 35대
김판규 ||
|| 36대
남재준 || 37대
김장수 || 38대
박흥렬 || 39대
임충빈 || 40대
한민구 ||
|| 41대
황의돈 || 42대
김상기 || 43대
조정환 || 44대
권오성 || 45대
김요환 ||
|| 46대
장준규 || 47대
김용우 || 48대
서욱 || 49대
남영신 || 50대
박정환 ||
||<bgcolor=#e0ffdb,#202210> 51대
박안수 || || || || ||

※ 초대~8대: 육군총참모장 / 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大韓民國 陸軍參謨總長
Chief of Staff Republic of Korea Army
파일:51대_참모총장_사진1_1.jpg
대장 박안수 (제51대)
취임일2023년 10월 31일
임관육군사관학교 46기
관사계룡대 공관

1. 개요
2. 내용
4. 여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국군조직법 제10조(각군 참모총장의 권한 등) ① 육군에 육군참모총장, 해군에 해군참모총장, 공군에 공군참모총장을 둔다.
②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군인사법 제19조(참모총장 등의 임명) ① 참모총장은 해당 군의 장성급 장교 중에서 국방부장관의 추천을 받아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며, 해병대사령관은 해병대 장성급 장교 중에서 해군참모총장의 추천을 받아 국방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② 참모총장은 재임기간 동안 해당 군에서 복무하는 현역장교 중 최고의 서열을 가지며, 해병대사령관은 재임기간 동안 해병대에서 복무하는 현역장교 중 최고의 서열을 가진다.
③ 참모총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해병대사령관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다만, 전시·사변시에는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④ 참모총장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 합참의장으로 전직(轉職)되지 아니하면 전역되며, 해병대사령관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에도 진급하거나 다른 직위로 전직되지 아니하면 전역된다.

육군참모총장은 대한민국 육군의 수장(首長)이자, 최고 선임 장교이다. 육군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대한민국 육군을 지휘·감독하며, 이를 위해 참모총장을 보좌하는 참모 부서를 육군본부 내에 두고 있다.

육군 대장이 보직되며, 대한민국 국군 의전서열 2위이다.

2. 내용[편집]


1990년까지는 대한민국 육군군령권군정권을 모두 가진 명실상부한 군부 최고의 실세였다. 그러나 1991년 군령권이 합동참모의장에게 넘어가고 육군참모총장은 군정권만 가지게 되었다.

합참의장이 군령권을 가져간 1991년 이전에는 육군참모총장이 육군의 군령권과 군정권을 모두 가지고 있었기에 권위와 파위가 엄청났다. 반면 합참의장은 사실상의 실권이 없는 바지사장이었기에 존재감이 없었다. 10.26 사건 때 군부를 장악하고 1차로 사건을 정리한 사람은 김종환 합동참모의장이 아닌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었고, 12.12 군사반란 때 반란군이 가장 먼저 정승화를 제압한 것도 이 이유다.

1991년 군령권이 합참의장에게 넘어갔지만, 이후 지금도 국군 최고의 실세로는 육군참모총장을 꼽는다. 합참의장이 쥐고 있는 평시작전권은 사실상 쓸모가 없고 책임만 큰 반면, 육군총장은 육군의 인사와 예산, 정책을 틀어쥐고 통제하는 보직이기 때문이다.

1991년 이후, 군령권이 합참의장에게 넘어가면서 현재 육군참모총장은 군정권만 가졌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서는 권한이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합참의장에 이은 국군 의전서열 2위이며, 기본적으로 자신을 포함한 육군대장[1] 중에서도 최고 으뜸이다.

합참의장을 배출할 때를 제하곤 군별 대장이 오직 한명이기에 필연적으로 대장 1차 보직인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과 달리 육군참모총장은 여러 명 대장 중 최선임 보직이므로 대장 2차 보직이 될 때가 많았다. 야전군사령관이나 연합사 부사령관을 하다 부임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2019년 1월 1일 1군사령부와 3군사령부가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폐합되며 육군 대장 보직이 하나 사라진 터라 이젠 중장에서 대장 진급과 동시에 바로 육군참모총장이 되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2] 대장 보직이 줄었을 뿐 아니라 합참의장도 타군에 자주 배정되기에 요즘 육군 대장은 대부분 1차 보직만 거치고 전역한다. 이 탓에 육사 기수별로도 대장이 많아야 2명, 대부분 1명밖에 배출되지 않는다.

육군참모총장이 발음하기에 길기 때문에 줄여서 육군총장 혹은 육참총장으로 부르기도 한다.

3. 역대 육군참모총장[편집]


파일:liujuncanmou_2.pn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응준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신태영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 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종찬 || 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백선엽 || 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형근 || 10대
백선엽 ||
|| 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송요찬 || 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영희 || 1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경록 || 1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장도영 || 15대
김종오 ||
|| 16대
민기식 || 17대
김용배 || 18대
김계원 || 19대
서종철 || 20대
노재현 ||
|| 21대
이세호 || 22대
정승화 || 23대
이희성 || 24대
황영시 || 25대
정호용 ||
|| 26대
박희도 || 27대
이종구 || 28대
이진삼 || 29대
김진영 || 30대
김동진 ||
|| 31대
윤용남 || 32대
도일규 || 33대
김동신 || 34대
길형보 || 35대
김판규 ||
|| 36대
남재준 || 37대
김장수 || 38대
박흥렬 || 39대
임충빈 || 40대
한민구 ||
|| 41대
황의돈 || 42대
김상기 || 43대
조정환 || 44대
권오성 || 45대
김요환 ||
|| 46대
장준규 || 47대
김용우 || 48대
서욱 || 49대
남영신 || 50대
박정환 ||
||<bgcolor=#e0ffdb,#202210> 51대
박안수 || || || || ||

※ 초대~8대: 육군총참모장 / 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1969년 육사 1기 서종철 대장(제19대) 이후 육사 41기 서욱 대장(제48대) 사이의 50년간 부임한 육군참모총장 전원이 육사 출신이었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처음으로 학군사관 출신 남영신 대장이 2020년 제49대 육군참모총장에 올랐다. 남영신 이후로는 다시 육사 출신이 맡고 있다.


역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정부역대사진이름계급임관재임기간기타
이승만
정부
초대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5px-General_Lee_Eung-jun_1948.jpg이응준
(李應俊)
소장일본 육사 26기1948. 12. 15. ~ 1949. 05. 08.[3]
2대파일:attachment/KM-CHD.jpg채병덕
(蔡秉德)
소장일본 육사 49기1949. 05. 09. ~ 1949. 09. 30.[4]
3대파일:신태영 참모총장.jpg신태영
(申泰英)
소장일본 육사 26기1949. 10. 01. ~ 1950. 04. 09.[5]
4대파일:attachment/KM-CHD.jpg채병덕
(蔡秉德)
소장일본 육사 49기1950. 04. 10. ~ 1950. 06. 29.[6]
5대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PM_Chung.jpg정일권
(丁一權)
소장일본 육사 55기1950. 06. 30. ~ 1951. 06. 22.[7]
6대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10102502092030003010-002.jpg이종찬
(李鐘贊)
소장일본 육사 16기1951. 06. 23. ~ 1952. 07. 22.[8]
7대파일:백선엽장군.jpg백선엽
(白善燁)
중장만주군관학교 9기1952. 07. 23. ~ 1954. 02. 13.[9]
8대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PM_Chung.jpg정일권
(丁一權)
중장군영 1기1954. 02. 14. ~ 1956. 06. 26.[10]
9대파일:이형근.jpg이형근
(李亨根)
중장군영 1기1956. 06. 27. ~ 1957. 05. 17.[11]
10대파일:백선엽장군.jpg백선엽
(白善燁)
대장만주군관학교 9기1957. 05. 18. ~ 1959. 02. 22.[12]
11대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5px-Song_Yo_Chan.jpg송요찬
(宋堯讚)
중장군영 1기1959. 08. 07. ~ 1960. 05. 22.[13]
허정
과도내각
12대파일:최영희.jpg최영희
(崔榮喜)
중장군영 1기1960. 05. 23. ~ 1960. 08. 28.[14]
장면
내각
13대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106271108588082.jpg최경록
(崔慶祿)
중장군영 1기1960. 08. 29. ~ 1961. 02. 16.[15]
14대파일:장도영.jpg장도영
(張都映)
중장군영 1기1961. 02. 17. ~ 1961. 06. 05.[16]
국가재건
최고회의
15대파일:General_Kim_Jong-oh.jpg김종오
(金鍾五)
대장군영 1기1961. 06. 06. ~ 1963. 05. 31.[17]
16대파일:external/www.rokps.or.kr/975.jpg민기식
(閔耭植)
대장군영 1기1963. 06. 01. ~ 1965. 03. 31.[18]
박정희
정부
17대파일:kimyongbae.png김용배
(金容培)
대장군영 1기1965. 04. 01. ~ 1966. 09. 01.[19]
18대파일:김계원.jpg김계원
(金桂元)
대장군영 1기1966. 09. 02. ~ 1969. 08. 31.[20]
19대파일:서종철 장군.jpg서종철
(徐鐘喆)
대장육사 1기1969. 09. 01. ~ 1972. 06. 01.[21]
20대파일:노재현 국방부장관.png노재현
(盧載鉉)
대장육사 3기1972. 06. 02. ~ 1975. 02. 28.[22]
21대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407301656449481.jpg이세호
(李世鎬)
대장육사 2기1975. 03. 01. ~ 1979. 01. 31.[23]
22대파일:attachment/generaljsh.jpg정승화
(鄭昇和)
대장육사 5기1979. 02. 01. ~ 1979. 12. 12.[24]
최규하
정부
23대파일:external/www.army.mil.kr/PASTCMNDR_201411190119179450.jpg이희성
(李熺性)
대장육사 8기1979. 12. 13. ~ 1981. 12. 15.
전두환
정부
24대파일:WSAkrD6zD5oV5BI3Zo6ghQ.jpg황영시
(黃永時)
대장육사 10기1981. 12. 16. ~ 1983. 12. 15.
25대파일:4d596a3679c881132d05b7fd48a76124.jpg정호용
(鄭鎬溶)
대장육사 11기1983. 12. 16. ~ 1985. 12. 15.
26대파일:amp044028.jpg박희도
(朴熙道)
대장육사 12기1985. 12. 16. ~ 1988. 06. 11.
노태우
정부
27대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105271731434411.jpg이종구
(李鍾九)
대장육사 14기1988. 06. 12. ~ 1990. 06. 10.
28대파일:이진삼 장군.jpg이진삼
(李鎭三)
대장육사 15기1990. 06. 11. ~ 1991. 12. 05.
29대파일:20130423023512_2.jpg김진영
(金振永)
대장육사 17기1991. 12. 06. ~ 1993. 03. 08.
문민정부30대파일:kimdongjin.png김동진
(金東鎭)
대장육사 17기1993. 03. 09. ~ 1994. 12. 26.
31대파일:external/img.ichannela.com/44401701.3-44401736.3.jpg윤용남
(尹龍男)
대장육사 19기1994. 12. 27. ~ 1996. 10. 18.
32대파일:doilkyu.png도일규
(都日圭)
대장육사 20기1996. 10. 19. ~ 1998. 03. 27.
국민의
정부
33대파일:external/dimg.donga.com/6813414.1.jpg김동신
(金東信)
대장육사 21기1998. 03. 28. ~ 1999. 10. 02.
34대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10601112835521.jpg길형보
(吉亨寶)
대장육사 22기1999. 10. 03. ~ 2001. 10. 12.
35대파일:김판규 대장.jpg김판규
(金判圭)
대장육사 24기2001. 10. 13. ~ 2003. 04. 06.
참여정부36대파일:남재준육군.jpg남재준
(南在俊)
대장육사 25기2003. 04. 07. ~ 2005. 04. 07.
37대파일:김장수 육군.jpg김장수
(金章洙)
대장육사 27기2005. 04. 07. ~ 2006. 11. 07.
38대파일:박흥렬 대장.jpg박흥렬
(朴興烈)
대장육사 28기2006. 11. 17. ~ 2008. 03. 21.
이명박
정부
39대파일:임충빈.jpg임충빈
(任忠彬)
대장육사 29기2008. 03. 21. ~ 2009. 09. 21.
40대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318432520.jpg한민구
(韓民求)
대장육사 31기2009. 09. 21. ~ 2010. 06. 18.
41대파일:황의돈 대장.jpg황의돈
(黃義敦)
대장육사 31기2010. 06. 18. ~ 2010. 12. 14.[25]
42대파일:attachment/fortytwo.jpg김상기
(金相基)
대장육사 32기2010. 12. 16. ~ 2012. 10. 11.
43대파일:조정환육군.jpg조정환
(曺晶煥)
대장육사 33기2012. 10. 11. ~ 2013. 09. 28.
박근혜
정부
44대파일:권오성_대장.jpg권오성
(權五晟)
대장육사 34기2013. 09. 28. ~ 2014. 08. 11.[26]
45대파일:김요환 대장.jpg김요환
(金曜煥)
대장육사 34기2014. 08. 11. ~ 2015. 09. 17.
46대파일:external/www.army.mil.kr/PASTCMNDR_201509211024174370.jpg장준규
(張駿圭)
대장육사 36기2015. 09. 17. ~ 2017. 08. 11.
문재인
정부
47대파일:김용우대장.png김용우
(金勇佑)
대장육사 39기2017. 08. 11. ~ 2019. 04. 16.
48대파일:육군참모총장서욱대장.jpg서욱
(徐旭)
대장육사 41기2019. 04. 16. ~ 2020. 09. 18.
49대파일:남영신_육군참모총장(육본).jpg남영신
(南泳臣)
대장학군 23기2020. 09. 23. ~ 2022. 05. 27.[27]
윤석열
정부
50대파일:총장 박정환.jpg박정환
(朴正煥)
대장육사 44기2022. 05. 27. ~ 2023. 10. 31.
51대파일:51대_참모총장_사진1_1.jpg박안수
(朴安洙)
대장육사 46기2023. 10. 31. ~ 현재



4. 여담[편집]


  • 육군참모총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육군참모차장이 직무를 대행한다.


  • 47대 김용우 대장부터 공식 홈페이지 프로필 사진을 정복 사진 대신 전투복 사진으로 올리고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육군참모총장 문서의 r2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육군참모총장 문서의 r2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00:18:00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육군 대장은 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이 4명이 기본이며 합참의장이 육군이면 육군이 5명이 되므로 4명 혹은 5명이다. 다만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은 과거 지상군구성군사령관을 겸임해왔기 때문에 육군장성이 보임되어왔던 것이고, 현재는 지작사령관이 전시 지상군 통제도 하기에 해당자리에 해공군 장성이 보임되어도 크게 문제는 없다.[2] 김용우 - 서욱 - 남영신 - 박정환 - 박안수로 이어지는 2017년 이후 육군총장 계보에서 남영신(지작사령관 출신)을 제외하곤 모두 대장 1차 보직으로 육군총장이 되었고, 합참의장으로도 영전하지 않고 바로 전역했다.[3] 진상규명위원회보고서 및 친일인명사전 등재 / 일본군 육군 대좌(대령)[4] 친일인명사전 등재 / 일본군 육군 중좌(중령)[5] 진상규명위원회보고서 및 친일인명사전 등재 / 일본군 육군 대좌(대령)[6] 친일인명사전 등재 / 일본군 육군 소좌(소령)[7] 친일인명사전 등재 / 만주군 헌병 대위[8] 진상규명위원회보고서 및 친일인명사전 등재 / 일본군 육군 소좌(소령)[9] 진상규명위원회보고서 및 친일인명사전 등재 / 만주군 간도특설대 중위[10] 친일인명사전 등재 / 만주군 헌병 대위[11] 친일인명사전 등재 / 일본군 육군 대위[12] 직무대행 이형근 1959년 2월 23일~1959년 8월 6일[13] 일본군 육군 상사[14]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15] 일본군 육군 부사관[16]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17]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18]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19]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20]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21] 일본군 육군 소위(학병 출신)[22] 일본군 경력 미특정[23] 일본군 육군항공대 간부후보생[24] 12.12 군사반란 당시 참모총장[25]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퇴임[26]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으로 자진 사임[27] 최초의 학군 출신 참모총장